한전, 2019년 영업적자 지속

원전이용률 상승과 유가 하락에도 불구, 판매량 감소 및 설비투자 증가·온실가스배출권 무상할당량 축소·미세먼지 대책 등이 주원인 ’19년 연결기준 영업손실 1조3566억원 기록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은 28일 ’19년 잠정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19년 연결기준 매출 59조928억원, 영업손실 1조3566억원으로 전년대비 매출은 1조5348억원, 영업이익은 1조1486억원 감소했다.

한국전력은 ’19년 자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분석했다.

영업손실의 주요 증가원인을 냉난방 전력수요 감소 등에 따른 전기판매수익 하락(판매량, 전년대비 1.1% 감소)과 무상할당량 축소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비용 급증, 설비투자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감가상각비·수선유지비 및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비용 증가 등에 있다고 분석했다.

’19년 실적에 대한 주요 항목별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8년 혹한·혹서 대비 냉난방 수요 감소와 ’18년 평창올림픽 개최 등 기저효과로 전기판매수익은 전년대비 0.9조원 감소하였다.

연료비는 국제유가 하락, 원전이용률 상승으로 전년대비 1.8조원 감소하였다.

전력수요 감소영향에 더해 원전이용률도 계획예방정비가 순차적으로 마무리되어 전년대비 4.7%p 상승하였고, LNG 세제 개편 효과 등에 따라 연료비는 감소했다.
* 원전예방 정비일수: (’18) 2824 → (’19) 2435일

다만, 미세먼지 저감대책(봄철 노후발전소 가동중지 및 겨울철 상한제약 확대 등)에 따른 석탄이용률 하락은 영업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전력산업 운영을 위한 필수비용인 온실가스 배출권비용, 감가상각비 등은 전년대비 2.0조원이 증가했다.

발전회사 온실가스 배출권비용*은 석탄발전 감축 등에 따라 총 배출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무상할당량 축소, 배출권 가격 상승으로 0.7조원 증가했다.
* 배출권비용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배출권 거래법(’12.5)” 제정에 따라 ’15년 최초 비용 부과

– 무상할당량 전년대비 18% 축소*, 배출권 수요증가로 배출권 가격 상승**
* 무상할당량(백만tCO2e): ’17년 203 → ’18년 208 → ’19년 171(잠정)
** 톤당 가격추이(만원): ’17년 2.2 → ’18년 2.7 → ’19년 3.2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전력설비 투자로 인해 감가상각비 및 수선유지비는 전년대비 0.6조원 증가했다.

신고리원전 4호기 준공(’19.8) 등 발전부문 상각비 0.2조원 증가
154kV 김제-부안 T/L 건설 등 선로 신·증설 등에 따른 송배전부문 상각비 0.3조원 증가
안전진단 및 예방정비 활동 강화 등 수선비 0.1조원 증가

인원증가 등에 따라 0.2조원, 퇴직급여부채를 최근 대법원 판례* 등에 따른 방식으로 추정함에 따라 0.3조원 비용 증가했다.
* 타 공공기관 소송에서 퇴직금 산정대상 평균임금 포함범위에 대해 근로자측 승소 판결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 원전해체비용 단가 상승* 등에 따른 원전관련 복구부채 설정비용이 0.2조원 증가했다.
* 중저준위폐기물(드럼당): 1373→1519만원, 원전해체충당금(호기당): 7515→8129억원

민간발전사로부터의 구입전력비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다(376억원 감소).
* 전력시장가격(SMP): (’18) 95.2 → (’19) 90.7원/kWh
* ’12.1월 RPS 제도 도입후, ‘16.12월 개정된 규정에 따라 신재생공급의무비율이 상승(5→6%)하여 RPS 비용 증가, 구입전력비 감소폭 상쇄

◇’19년 자구노력 추진실적과 ’20년 경영여건 전망 및 계획

’19년 한전과 발전자회사를 비롯한 전력그룹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여건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자구노력을 시행했다.

안정적 전력공급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 설비보수 자체수행, 송·배전 설비시공 기준개선 등 2.1조원 규모의 재무개선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했다.

올해에는 전년대비 원전이용률 상승(70% 중반대) 등이 한전의 경영실적 개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나, 환율 및 국제연료가격 변동 등 대내외 경영여건 변화를 지속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한전과 전력그룹사는 전력그룹사 간 협력강화와 경영효율화 등 고강도 자구노력을 통해 실적개선과 재무건전성 강화에 만전을 다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요금체계 마련을 위해 합리적 제도개선에 주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