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레저신문=김인철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6월 3일(수) 강원도 영월 드론전용비행시험장(영월읍 덕포리 소재)에서 ‘K-드론시스템 대규모 실증 행사 및 민간드론교통관리사업자 협의체 발족식’을 가졌다.
K-드론시스템(국토교통부 R&D)은 드론 비행 모니터링 및 충돌 방지 등 다수 드론의 안전 비행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향후 다가올 드론 배송 및 드론 택시 시대의 핵심 인프라이다.
현재 항공기는 항공교통관제사가 제공하는 관제 지시(비행 방향, 고도 등)를 조종사가 수행하는 방식으로 비행하고 있으나 드론의 경우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관제 업무도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시권 밖 비행의 경우 다른 비행체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 예방, 기상정보 및 비행 경로상 안전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K-드론시스템을 활용하면 드론교통관리사업자(USS)가 LTE·5G 등 무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변 드론과의 간격 분리, 비행 경로상 안전 모니터링, 기상 및 기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어 비행 안전성이 향상되고 여러 대의 드론을 동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실증은 국내 최대 규모로서 개별 임무를 맡은 7대의 드론이 동시 비행해 비행 계획 관리 및 위치 추적 등 안전 비행을 위한 핵심 기능을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특히 드론 주변으로 긴급출동 항공기가 접근하면 항공기의 경로에 방해되지 않도록 임무 수행 중인 드론을 이동 또는 착륙시키는 기술도 선보여 K-드론시스템의 조기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실증을 계기로 K-드론시스템 실증 확대, 후속 R&D와의 공백 없는 연계 및 국제 협력 강화, 향후 사업화를 위한 법·제도 발굴·개선 등의 3대 목표를 담은 ‘K-드론시스템 실증 확대 및 실용화 촉진방안’을 발표했다.
드론 배송 조기 상용화 및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이번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K-드론시스템 R&D와 별도로 한국형 UAM 그랜드 챌린지 추진과 같은 재정사업 등을 신설해 실증 확대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 부처안에 한국형 UAM 그랜드 챌린지를 통한 K-드론시스템 실증 확대 예산을 반영해 드론 배송 수요가 있는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고 드론 배송 등에 관심이 있는 유관 기관 및 지자체 등이 기관별 특성을 반영한 생활밀착형 과제를 발굴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할 예정이다.
2. 정부 R&D로 개발하고 있는 K-드론시스템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드론교통관리업무를 본격적으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능인 국가비행정보관리시스템(FIMS) 구축 등 후속 R&D도 공백 없이 추진한다.
아울러 미 FAA(연방항공청)·NASA(항공우주국) 등과의 협력을 지속하면서 국제적 드론교통관리 동향도 적기 반영할 계획이다.
3. 향후 드론교통관리사업자(USS) 본격 출현에 대비해 관련 업무의 종류, 비행 승인 및 위치 보고, 통신 방식 표준(프로토콜) 등 시스템 운영 기준을 차질 없이 준비하는 한편, 실증 및 협의체 운영을 통해 제도 보완 사항도 지속 발굴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드론교통관리사업자(USS) 제공 업무의 종류, 자격요건 등을 담은 사업자 기준안 마련에 착수하고 드론 위치 보고를 위한 통신 방식 표준(프로토콜)을 제정하며(~2021년) 비행 장치 신고 및 비행 승인 세부 절차, 사업자 간 정보 공유 방안 등도 순차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한편, K-드론시스템 실증 이후에는 장차 상용화될 드론교통관리 사업에 관심 있는 기업 또는 기관들이 모여 드론교통관리사업자(USS) 협의체를 발족했다.
국토교통부는 협의체를 통해 K-드론시스템 개발 및 조기 실용화를 다각적으로 지원하기로 했으며 K-드론시스템 R&D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드론교통관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사업자들의 실증 분야 참여 방안 등도 함께 논의해 갈 예정이다.
이날 실증 및 협의체 발족식 현장에 함께한 손명수 제2차관은 행사를 준비한 연구진 및 협의체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자리에서 “드론에 대한 교통관리 기능이 대폭 확충되는 2022년부터는 다양한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드론교통관리사업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K-드론시스템 R&D 참여 기관에 대해서는 “수요자 맞춤형으로 실제 활용 성공사례를 만들고 단계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해 줄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