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섬을 ‘세계 평화’의 예술섬으로

 

노들섬의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에게 보내는 편지 

 

미스터 헤더윅! 우선 축하드립니다. 

당신의 작품이 ‘노들 글로벌 예술섬 국제 지명 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에 선정된 것을. 나는 작년에 어렴풋이 노들섬의 주인공은 당신이 되지않을까 생각했었습니다. 작년에 진행된 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당신의 작품 ‘소리풍경’을 본 후로, 그리고 작년 8월 ‘문화역 서울284’에서 개최된 ‘헤더윅스튜디오- 감성을 빚다’ 전시회를 본 후로는 그 예감이 더욱 더 짙어졌었죠.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공모전에 참가한 모든 건축가들의 작품이 하나같이 혁신적이고 아름다웠지만, 당신의 작품은 그런 예상을 하기에 충분했었죠. 멋진 한강의 아름다움을 획일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뺏겨버린 불쌍한 서울시민들에겐 축복과도 같은 제안이었습니다.

어쩌면 축하는 당신에게 보낼 일이 아니라 몇년 후 당신의 아름다운 작품을 향유하게될 서울시민들에게 보내야할 지도 모르겠군요.

미스터 헤더윅! 그러나 며칠전 결정된 최종 선정의 결과를 두고 한강을 사랑하고, 아름다운 건축을 사랑하는 서울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설레임과 함께 당신께 드리고 싶은 몇 가지 우려가 있어 감히 그 말을 조심스레 꺼내보려 합니다.

첫째, 뉴욕 리틀 아일랜드와의 유사성에 대한 우려입니다.

 

나도 작년에 당신의 작품을 보고 먼저 리틀 아일랜드를 떠올렸습니다. 그것은 아마 무엇보다 공중에 떠있는 건축물이라는 유사성에서 그런 인상을 받았을 겁니다. 그러나 이번에 당신의 열정적인 PT롤 보고 그 우려는 거의 사라졌습니다. 공중에 떠있다는 구조적인 부분만 비슷하지 두 프로젝트는 당신의 말대로 소재성, 물질성 등에서 완전히 다른 프로젝트니까요.

오히려 역동성이나 건축미에서 리틀 아일랜드보다는 노들섬 아이디어가 훨씬 더 뛰어나다는 것을 나는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끝까지 주의해야할 점은 있는 것 같습니다. 건축의 수용자들은 첫인상을 보고 평가하지, 당신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고 평가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말이죠.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둘째, 예산의 문제입니다.

 

작년에 당신은 당신의 작품 ‘소리풍경’을 구현하는데 1조 3천억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결정된 노들 글로벌 예술섬의 예산은 3,400억입니다. 당신은 당신의 오리지널 아이디어를 축소하여 서울시의 예산에 맞추려고 노력하였지만, 이 예산이라는 굴레가 당신의 천재성을 심각히 훼손시키키지는 않을까 심히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솔직하게 서울시에게 건설의 기간을 늘려서라도 서울시가 더 많은 예산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없는걸까요? 물론 이것은 서울시에게 해야할 질문이지만 말입니다. 서울시민들이라면 누구나 예산의 굴레에 얽매어 당신의 반쪽짜리 아이디어를 보는 것보다는 노들섬을 세계적인 명소로 만들기 위해 예산을 더 들여서라도 당신의 온전한 천재성을 갖고싶은 마음일 것입니다.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셋째, 컨셉의 문제입니다.

 

당신의 최종 당선작의 컨셉은 ‘소리풍경’입니다. 한국의 전통음악에서 세계의 젊은이들을 사로잡는 K-POP의 열풍까지 한국의 소리를 비주얼라이즈화한 것이 소리풍경이겠죠. 멋진 컨셉입니다. 그러나 나는 당신에게 한가지 제안을 하려 합니다. Seoul은 최근 Seoul의 도시 아이덴티티를 My Soul, Seoul 로 바꿨습니다. Soul과 Seoul이라는 단어의 라임이 주는 멋진 슬로건이죠.

 

<글로벌 노들섬 국제공모 최종 당선작인 토마스 헤더윅의 컨셉 ‘소리풍경’>

미스터 헤더윅!  당신이 생각하는 서울의 Soul, 즉 서울이 세계인에게 줄 수 있는 정신적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나는 감히 그것을 평화(Peace)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대한민국은 5천년의 역사 중 수많은 외침을 당해왔습니다. 가장 최근엔 36년간의 일본의 식민지배에 이르기까지 말이죠.

당신은 인정할 지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은 2차 세계대전 후 당신의 나라 영국을 비롯한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있다가 독립한 100여개가 넘는 신생 독립국 중 유일하게 선진국이 된 나라입니다. 더우기 1950년에는 북한의 남침에 의해 온 나라가 파괴되고 이 노들섬 위를 지나는 한강대교와 바로 옆의 한강철교도 처참하게 폭파되었었죠. 이 폐허에서 일군 서울의 기적을 세계인들은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릅니다.

 

<끊어진 한강철교의 1953년 1월 1일 모습. 존 리치 촬영>

 

미스터 헤더윅! 서울이 세계인에게 줄 수 있는 Soul이 평화라면 이제 그 한강에서 마지막 남은 아름다운 장소인 노들섬을 장식할 소리풍경이라는 컨셉에 이 Peace의 정신을 담아줄 수는 없는지요? 그래서 세계인이 헤더윅의 노들섬을 떠올릴 때, 그리고 서울을 떠올릴 때 그냥 ‘글로벌 예술섬’이 아니라 세계유일의 ‘평화의 예술섬’을 떠올릴 수 있게 말이죠.

예술섬이라 주장하는 곳은 많습니다. 가까운 일본의 나오시마도 그렇고 한국의 여수에 있는 장도도 그렇고 가파도도 그렇습니다. 모두다 일본의 나오시마를 따라가려는 사례들이죠. 그래서 나는 노들섬의 아이덴티티는 성공사례를 따라가는 Me Too의 예술섬이 아니라 세계에서 유일하게 서울만이 낼 수 있는 One & Only의 ‘평화’의 예술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영국은 세계인에게 ‘민주’라는 정신적 가치를 선물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영국’하면 그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국회의사당과 빅벤을 떠올리죠. 프랑스는 세계인에게 ‘평등’이라는 가치를, 미국은 세계인에게 ‘자유’라는 가치를 선사했고 그래서 그 상징물들인 에펠탑과 자유의 여신상이 그 나라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미스터 헤더윅! 당신이 생각하기엔 별로 많지도 않은 예산의 노들섬 프로젝트에 너무 큰 욕심을 낸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 멋진 한강의 뷰를 성냥갑 같은 아파트에 다 뺏겨버린 서울시민의 절규와도 같은 호소라고 생각해주세요.

<노들섬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노을>

 

노들섬은 당신도 인정했듯 마지막 남은 한강의 보석같은 공간입니다. 여기에 세워지는 당신의 건축물이 만약 서울이, 아니 대한민국이 세계인에게 줄 수 있는 정신적 가치인 ‘평화’의 상징이 된다면 나는 그것은 3,400억원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돈으로 따질 수 없는 또 하나의 인류문화유산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당신은 프리젠테이션에서 이렇게 우리를 흥분시켰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건축물을 만들려는 것이 아니다’라구요. 맞습니다. 노들섬에 들어서는 당신의 건축물이 또 하나의 콘트리트 구조물이 아니라 서울시민, 나아가 세계인들에게 ‘평화’라는 영감을 주는 정신의 진원지가 되기를 빌어 봅니다.

미스터 헤더윅! 감사합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건투를 빕니다. 화이팅!

여행레저신문 윤 목 칼럼니스트 pulneck@naver.com

윤목(성공회대 미디어컨텐츠융합자율학부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