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섬을 ‘세계 평화’의 예술섬으로

 

노들섬의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에게 보내는 편지 

 

미스터 헤더윅! 우선 축하드립니다. 

당신의 작품이 ‘노들 글로벌 예술섬 국제 지명 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에 선정된 것을. 나는 작년에 어렴풋이 노들섬의 주인공은 당신이 되지않을까 생각했었습니다. 작년에 진행된 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당신의 작품 ‘소리풍경’을 본 후로, 그리고 작년 8월 ‘문화역 서울284’에서 개최된 ‘헤더윅스튜디오- 감성을 빚다’ 전시회를 본 후로는 그 예감이 더욱 더 짙어졌었죠.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공모전에 참가한 모든 건축가들의 작품이 하나같이 혁신적이고 아름다웠지만, 당신의 작품은 그런 예상을 하기에 충분했었죠. 멋진 한강의 아름다움을 획일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뺏겨버린 불쌍한 서울시민들에겐 축복과도 같은 제안이었습니다.

어쩌면 축하는 당신에게 보낼 일이 아니라 몇년 후 당신의 아름다운 작품을 향유하게될 서울시민들에게 보내야할 지도 모르겠군요.

미스터 헤더윅! 그러나 며칠전 결정된 최종 선정의 결과를 두고 한강을 사랑하고, 아름다운 건축을 사랑하는 서울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설레임과 함께 당신께 드리고 싶은 몇 가지 우려가 있어 감히 그 말을 조심스레 꺼내보려 합니다.

첫째, 뉴욕 리틀 아일랜드와의 유사성에 대한 우려입니다.

 

나도 작년에 당신의 작품을 보고 먼저 리틀 아일랜드를 떠올렸습니다. 그것은 아마 무엇보다 공중에 떠있는 건축물이라는 유사성에서 그런 인상을 받았을 겁니다. 그러나 이번에 당신의 열정적인 PT롤 보고 그 우려는 거의 사라졌습니다. 공중에 떠있다는 구조적인 부분만 비슷하지 두 프로젝트는 당신의 말대로 소재성, 물질성 등에서 완전히 다른 프로젝트니까요.

오히려 역동성이나 건축미에서 리틀 아일랜드보다는 노들섬 아이디어가 훨씬 더 뛰어나다는 것을 나는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끝까지 주의해야할 점은 있는 것 같습니다. 건축의 수용자들은 첫인상을 보고 평가하지, 당신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고 평가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말이죠.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둘째, 예산의 문제입니다.

 

작년에 당신은 당신의 작품 ‘소리풍경’을 구현하는데 1조 3천억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결정된 노들 글로벌 예술섬의 예산은 3,400억입니다. 당신은 당신의 오리지널 아이디어를 축소하여 서울시의 예산에 맞추려고 노력하였지만, 이 예산이라는 굴레가 당신의 천재성을 심각히 훼손시키키지는 않을까 심히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솔직하게 서울시에게 건설의 기간을 늘려서라도 서울시가 더 많은 예산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없는걸까요? 물론 이것은 서울시에게 해야할 질문이지만 말입니다. 서울시민들이라면 누구나 예산의 굴레에 얽매어 당신의 반쪽짜리 아이디어를 보는 것보다는 노들섬을 세계적인 명소로 만들기 위해 예산을 더 들여서라도 당신의 온전한 천재성을 갖고싶은 마음일 것입니다.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셋째, 컨셉의 문제입니다.

 

당신의 최종 당선작의 컨셉은 ‘소리풍경’입니다. 한국의 전통음악에서 세계의 젊은이들을 사로잡는 K-POP의 열풍까지 한국의 소리를 비주얼라이즈화한 것이 소리풍경이겠죠. 멋진 컨셉입니다. 그러나 나는 당신에게 한가지 제안을 하려 합니다. Seoul은 최근 Seoul의 도시 아이덴티티를 My Soul, Seoul 로 바꿨습니다. Soul과 Seoul이라는 단어의 라임이 주는 멋진 슬로건이죠.

 

<글로벌 노들섬 국제공모 최종 당선작인 토마스 헤더윅의 컨셉 ‘소리풍경’>

미스터 헤더윅!  당신이 생각하는 서울의 Soul, 즉 서울이 세계인에게 줄 수 있는 정신적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나는 감히 그것을 평화(Peace)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대한민국은 5천년의 역사 중 수많은 외침을 당해왔습니다. 가장 최근엔 36년간의 일본의 식민지배에 이르기까지 말이죠.

당신은 인정할 지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은 2차 세계대전 후 당신의 나라 영국을 비롯한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있다가 독립한 100여개가 넘는 신생 독립국 중 유일하게 선진국이 된 나라입니다. 더우기 1950년에는 북한의 남침에 의해 온 나라가 파괴되고 이 노들섬 위를 지나는 한강대교와 바로 옆의 한강철교도 처참하게 폭파되었었죠. 이 폐허에서 일군 서울의 기적을 세계인들은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릅니다.

 

<끊어진 한강철교의 1953년 1월 1일 모습. 존 리치 촬영>

 

미스터 헤더윅! 서울이 세계인에게 줄 수 있는 Soul이 평화라면 이제 그 한강에서 마지막 남은 아름다운 장소인 노들섬을 장식할 소리풍경이라는 컨셉에 이 Peace의 정신을 담아줄 수는 없는지요? 그래서 세계인이 헤더윅의 노들섬을 떠올릴 때, 그리고 서울을 떠올릴 때 그냥 ‘글로벌 예술섬’이 아니라 세계유일의 ‘평화의 예술섬’을 떠올릴 수 있게 말이죠.

예술섬이라 주장하는 곳은 많습니다. 가까운 일본의 나오시마도 그렇고 한국의 여수에 있는 장도도 그렇고 가파도도 그렇습니다. 모두다 일본의 나오시마를 따라가려는 사례들이죠. 그래서 나는 노들섬의 아이덴티티는 성공사례를 따라가는 Me Too의 예술섬이 아니라 세계에서 유일하게 서울만이 낼 수 있는 One & Only의 ‘평화’의 예술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글로벌노들섬 국제디자인공모전 당선작‘소리풍경’. 출처: 서울시 유튜브 캡처>

 

영국은 세계인에게 ‘민주’라는 정신적 가치를 선물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영국’하면 그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국회의사당과 빅벤을 떠올리죠. 프랑스는 세계인에게 ‘평등’이라는 가치를, 미국은 세계인에게 ‘자유’라는 가치를 선사했고 그래서 그 상징물들인 에펠탑과 자유의 여신상이 그 나라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미스터 헤더윅! 당신이 생각하기엔 별로 많지도 않은 예산의 노들섬 프로젝트에 너무 큰 욕심을 낸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 멋진 한강의 뷰를 성냥갑 같은 아파트에 다 뺏겨버린 서울시민의 절규와도 같은 호소라고 생각해주세요.

<노들섬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노을>

 

노들섬은 당신도 인정했듯 마지막 남은 한강의 보석같은 공간입니다. 여기에 세워지는 당신의 건축물이 만약 서울이, 아니 대한민국이 세계인에게 줄 수 있는 정신적 가치인 ‘평화’의 상징이 된다면 나는 그것은 3,400억원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돈으로 따질 수 없는 또 하나의 인류문화유산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당신은 프리젠테이션에서 이렇게 우리를 흥분시켰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건축물을 만들려는 것이 아니다’라구요. 맞습니다. 노들섬에 들어서는 당신의 건축물이 또 하나의 콘트리트 구조물이 아니라 서울시민, 나아가 세계인들에게 ‘평화’라는 영감을 주는 정신의 진원지가 되기를 빌어 봅니다.

미스터 헤더윅! 감사합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건투를 빕니다. 화이팅!

여행레저신문 윤 목 칼럼니스트 [email protected]

윤목(성공회대 미디어컨텐츠융합자율학부 겸임교수)

 

 

세이셀의 숨은 보석 라디그 섬

세이셸엔 섬 전체가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곳이 있는데 면적은 10km2, 인구는 2,000명으로  프라 슬랭 섬 동쪽에 위치하며 주민의 대부분은 라파스(La Passe) 마을과 라 레위니옹(La Réunion) 마을에 거주하는 라디그 섬이 그곳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휴양지로 알려지기도 한 이곳은 윌리엄 왕세손, 베컴 부부가 오붓하게 또 화려하게 휴양하는 곳이기도 하다.

해발 333m 고도의 원시림 트레킹으로 라디그 섬의 투어를 시작했다. 자전거를 타고 가다 중간에 자전거를 놓고 네 데굴 산을 약 3 시간 남짓 가파르게 오르내리며 트레킹을 했는데 다소 지치고 목이 마를 즈음 산 중턱에서 내려다보이는 바다 풍경은 잠깐의 휴식으로도 충분했다. 그리고 트레킹 코스 중간중간 고급 진 레스토랑들이 있어 인도양을 바라보며 즐기는 한 끼의 식사는 트레킹으로 지친 심신을 단번에 충전시켰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새로 국제 자연 보존 연맹에서 선정한 멸종 위기의 동물 중 하나인 검은 꼬리 깃털을 가진 토종 딱새 뵈브가 라디그 섬에 서식 중이다. 타카마카 나무를 좋아해 이곳에 서식하는데 우리는 트레킹 중 아쉽게 마주치진 못했으나 대신 세계에서 가장 큰 알다 브라 자이언트 거북이를 이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 300kg의  육중한 무게로 대략 100~200살을 살고 있는 거북이는 사람들의 손길도 마다하지 않고 고령자답게 모든 것들이 너그럽다.

라디그 섬엔 트래블러지가 선정한 세계 1위의 가장 아름다운 해변 앙세 소스다종이 있다. 영화 캐스트 어웨이에서 톰 행크스가 무인도에 홀로 떨어져 아름다운 풍경 안에서 절망으로 몸부림치던 그 장면들이 바로 이곳에 펼쳐져 있다.

기묘하고 신비로운 느낌을 잔뜩 품은 화강암 바위들이 실로 거대하고 웅장한 자태로 해변에 즐비하다. 카약을 타고 앙세 소스 다종을 향했다. 깊지 않은 푸른 바다 위를 카악 행렬이 보트에 의지해 살랑이며 태양 아래 한참이다. 발아래로 하얀 산호초들과 알록달록한 열대어들이 잡힐 듯 스치고 지나간다.

얼마나 지났을까 태양 아래 각양각색의 모양으로 빚어 놓은 듯한 바위들이 펼쳐졌다. 거친 부분 하나 없이 매끈하게 다듬어 놓은 듯한 모습은 실로 장관이다. 자연의 솜씨라고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신비롭다. 아니 자연의 솜씨이기 때문에 더 없이 신비로운 거겠지..

사람이 다녀간 흔적이 느껴지지 않을 만큼 해변의 자태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파도를 따라 움직이며 뛰 노는 아이와 바위 사이에 보이지 않게 누워 일광욕을 즐기는 사람들을 마주치지 못했다면 정말 깜빡 속을 뻔했다. 무수한 시간 동안 다녀간 사람들의 흔적은 대자연 속에선 무의미했다. 우린 그대로 원시시대에 와 있었다.

라디그 섬은 세이셸의 보석과 같은 곳이다. 가공되지 않은 원석 그대로 반짝이고 있었다. 문명이 흠집을 내어 번듯하게 만들 이유조차 찾기 어려울 만큼 자연이 주인인 그곳. 그래서 사람들이 잠시 잠깐 그곳에서 그 아름다움에 동화되어 인간 사회로 돌아가 다시 숨 쉬고 살수 있게 한다. 그걸 힐링이라고 말하던가?^^

라디그 섬은 자전거가 일상이고 급하지 않다면 뚜벅이가 다반사인 곳. 자연과 하나 된 섬 주민들은 그런 일상에 위험요소마저 당연히 자연의 일부로 알고 사는 듯 보이지 마 우리가 흔히 보는 자전거 도로라고 생각하면 위험천만이다. 

경계가 분명하여 사람과 자전거가 분리된 도로가 아니고 자전거와 사람 그리고 가끔씩 다니는 자동차가 모두  한길로 다녀 사고 위험이 종종 있다. 게다 도로 교통법에 대한 숙지가 없는 외국인은 자전거를 타고 달리다 차가 달려오면 그 자리에 멈춰 서서 차가 먼저 가기를 기다려야 하는 라디그 섬만의 교통법을 준수해야 하는데 문제는 도로가 좁아 멈추어 서는 것이 위태롭게 느껴진다.  라디그 섬의 본연의 의지는 외국인에겐 익숙지가 않다.

그래도 여전히 세이셸은 굉장히 매력적이고 힐링의 대명사 같은 곳이다. 그 열흘 간의 시간 동안 마치 다른 차원의 우주를 다녀온 듯 경이로운 시간을 선물받았다.

꿈같은 시간은 늘 언제나 순간으로 사라지고 일상으로 돌아온 지금 눈을 감을 때마다 나는 여전히 세이셸을 향한다.

글 사진: 여행레저신문 All Right Reserved

희귀한 야자수로 가득한 프랄린 섬엔 에덴의 동산이 있었다.

20명 남짓 2열로 블록처럼 끼워 앉아야 탈수 있는 작은 경비행기를 타고 도착한 곳은 세에 셀의 두 번째로 큰 프랄린 섬. 우린 곧바로 발리드 메 (Valle de Mai) 국립공원으로 향했다.

1972년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문화유산인 이곳 발리드 메엔 희귀한 야자나무들이 가득하다.

숨만 쉬어도 건강해질 것 같은 이곳은 세계문화유산 지정 30주년 기념으로 2013년에 타임캡슐을 설치했고 60주년이 되는 2043년 12월 9일에 타임캡슐을 오픈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가이드의 안내를 따라 야자나무가 즐비한 숲길을 따라 걷는데 이곳의 유명한 타카마카럼이 바로 이곳에서 자라는 타카 마카 나무로 만들어진다며 설명을 해준다.  후에 럼을 만드는 곳을 방문하여 설명을 들었는데 럼은 전 세계에서 이곳만이 가진 비옥한 황토가 키운 사탕수수를 정제해서 만든 후 위스키처럼 그럼을 저장해 숙성시키는 나무 통이 타카 마카가 아닌가 짐작해 본다. 타가 마카 잎을 예전엔 지붕으로도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단단한 나무는 가구로 사용된다.

발리드 메에 가장 주목할 만한 나무가 있는데 바로 코코드 메 ( coco de mer)라는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나무 열매가 열리는 나무가 바로 이곳에 있다. 전 세계에서 이곳에서만 자라는 독특한 나무는 암나무와 숫 나무로 누구라도 눈으로 바로 알 수 있는 열매 모양으로 단연코 신기하고 묘하게 성스럽다.

코코드메는 평균 250년을 산다고 한다. 이곳에 암나무 700그루 숫나무 800그루가 있다.

암나무는 태초의 여성 이브의 하반신을 꼭 빼닮았고 숫나무는 아담의 심벌이라 불리는데 그 크기들이 경이로울 만큼 거대하고 신비롭다. 암나무의 열매는 그 무게가 25kg에 달하며 대략 7년 정도 되면 바닥으로 떨어지는데 그때 그것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그 안은 코코넛 같은 것들과 거대한 씨앗이 채워져 있는데 그 가격이 대략 3000불에 달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 열매를 사서 가지고 나올 수 없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먹고 난 겉껍질만 들고나올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그 안의 씨앗이 반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고. 아주 오래전 대륙이 하나였다가 5개 대륙으로 나뉘었는데 그때 당시 이 지역에만 살던 코코드 메가 살고 있던 곳에서 튕겨져 나와 지금의 프랄린 섬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코코 드메는 이곳에서만 오롯이 성장하고 있고 그것을 보존하기 위해 자연의 순리를 기반으로 지켜 나가고 있다고 한다.

숫 나무의 긴 심벌엔 하얀색 꽃들이 피어나는데 바람이나 도마뱀들에 의해 암나무의 두 주먹만 한 열매가 때맞춰 살짝 벌어졌을 때 꽃들이 암나무의 열매에 운 좋게 착상해야 하는 기묘한 자연의 점지가 있어야 이브의 아름다운 심벌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역시 생명의 조화는 마치 설계된 듯 모든 것들이 시스템화되어 절로 흐른다. 인간의 영역은 분명 아니다.

이곳엔 코코드 메만 있는 것이 아니라 넛맥, 바닐라 등등의 나무들도 함께 공존한다. 숲을 따라 걷다 보면 군데군데 나무들이 쓰러져 있고 그 사이로 조그만 개울들이 있는데 그 물들이 나무들을 살리고 또 흘러 흘러 국립공원 바깥의 폭포수가 된다고 한다. 이곳은 죽은 나무들을 전혀 손대지 않고 스스로 그 안에서 생명이 태어나고 또 죽고를 반복하는 자연 순환의 이치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자연이 스스로를 돌보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거기에 아주 조금의 역할을 하거나 그나마도 못한 행위들로 자연은 고통스럽다.

프랄린의 코코 드메 호텔은 마치 자연과 하나된 느낌의 리조트다. 밤바다가 불어주는 바람을 머릿결 사이로 감미롭게 느끼며 달빛 아래 조그마한 등 하나를 사이에 두고 한낮의 뜨거웠던 태양 아래 달궈질 대로 달궈진 상태를 여유 있게 식히며 음식을 먹었는지 바람이 실어다 주는 기분 좋은 향기를 머금고 있었는지 프랄린의 밤은 마냥 행복하다.

이튿날 작은 배를 타고 해상국립공원으로 향했고 가는 중간에 에메랄드빛 바다 한가운데 잠시 정박해 스노클링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푸른 바닷속엔 열대어들이 이미 우리들의 출현이 익숙한 듯 손이 닿을듯한 거리를 유지해 주었고 백색 산호들이 그 아래에 즐비했다.

엘니뇨 현상으로 산호의 90여 프로가 고사해 아름답던 산호섬은 어느새 옛이야기가 되었지만 자연은 늘 그래왔듯 스스로 살고 스스로 때맞춰 사라진다. 살고 죽는 것은 현상일 뿐 여전히 이곳 프랄린은 뜨겁게 아름답다.

프랄린의 서쪽으로 가면 다양한 식물군과 동물군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특히 뿌리가 위로 계속 자라 여러 갈래의 줄기 모양으로 형성된 맹그로브 군락지가 즐비한 곳들이 있다. 우리는 길을 따라 걸으며 물길을 따라 서식하고 있는 맹그로브의 역사를 보듯 크고 작은 맹그로브를 감탄하며 바라보았고 그 외에 타카 마카, 코코드 메도 복습하듯 발견하는 기쁨을 가졌다.

세이셸에서의 시간들은 우리를 어린아이처럼 해맑은 정서로 다시 되돌아오게 한다.

세이셸 사람들의 눈망울이 유독 똘망똘망하고 생기 넘치는 이유가 자연이 주는 모든 것들을 잘 수용하고 순응하며 살기 때문은 아닐까? 왜냐하면 다른 선진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복화술의 달인들처럼 마음 안에 또 다른 나를 발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글 사진: 여행레저신문 All Right Reserved

 

에어비앤비 공모전 통해 선정된 ‘기상천외한 숙소’, 이제 플랫폼에서 예약 가능

(여행레저신문) 2022년 6월, 에어비앤비는 전 세계 디자이너와 건축가를 비롯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수만 명의 사람들의 가장 멋지고 영리하며 창의적인 숙소 아이디어를 공모전을 통해 모집했다. 에어비앤비는 아이디어를 직접 검토하여 100명을 선정했으며, 각각의 지원자가 숙소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10만 달러(한화 약 1억 3천만 원)를 지급했다.

이 공모전을 통해 에어비앤비에 등록된 예약 가능한 숙소와 호스트의 소감을 소개한다.

1. 아비 A. 님의 코코헛(태국, 매탱)

열정을 타고난 사람이든 간단한 휴지 낙서로 창의성을 발전시킨 사람이든, 지원자들은 모두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인다는 점이었다. 코코헛이란 이름의 숙소를 내놓은 호스트 아비 님은 공모전 참여를 위해 보낸 지난 1년 간에 대해 ‘놀라운 여정’이었다고 말하며, 그동안 많이 배우고 성장했다고 했다. “숙소를 완성하는 데 수많은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연못을 파고, 길을 만드는 것도 모자라 대나무 가구 만드는 법까지 배우는 등 다양한 일을 했죠. 휴지 조각의 낙서에서 시작해 이렇게 다양한 작업을 완료한 결과 울타리, 수영장, 수도 및 전기 시스템을 갖춘 숙소가 탄생했습니다. 모든 것을 하나로 연결해야 이렇게 농장에 집을 지을 수 있더군요.”

2. 에스테반 A. 님의 특별한 열대우림 벌집 숙소(코스타리카, 포코솔)

에스테반 님은 디자인이나 건축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이 여정에 뛰어들었다. 그럼에도 특별한 열대우림 벌집 숙소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사실 기상천외한 숙소 공모전에 지원하면서도 걱정을 좀 했는데요, 디자인이나 건축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제가 당선되어서 깜짝 놀랐어요. 오늘 밤, 저는 이 커다란 벌집 숙소에서 호스팅 약속을 지키게 되었습니다. 1년간 모든 일이 도전과 같았고, 믿음이 흔들릴 때 마다 굳게 다지며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했지만, 이제 그동안의 노력이 이렇게 완성되어 정말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3. 휘트니 H. 님의 화분(미국 아이다호, 벌리)


기상천외한 숙소 건축은 창의적인 콘셉트를 기반으로 야심 차게 완성해 나가는 프로젝트인 만큼 화분 모양의 숙소를 만든 호스트 휘트니 님처럼 건축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은 호스트가 많지만, 휘트니 님은 장애물보다는 아이디어 실현에 대한 열정이 더욱 컸다. “드디어 저희 숙소를 세상에 선보이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숙소의 규모도 크지만, 무엇보다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을 만들어 내는 일이 쉽지 않았습니다. 건축 난이도가 높아 수십 명의 계약 업자들이 공사를 그만두어야 한다고 말할 정도였어요. 그래도 저희는 이 숙소가 게스트와 지역사회에 놀라운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숙소가 자리 잡은 이 땅은 돌아가신 저희 할아버지께서 경작을 하시던 곳이었어요. 작은 시골 마을인 아이다호에 이런 기상천외한 숙소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직접 보여준 것에 할아버지가 자랑스러워하시지 않을까 싶어요.”

4. 티머시 H. 님의 버블 숙소(호주, 아그네스)

기상천외한 숙소 공모전에 선정된 아이디어는 대부분 다른 사람들과 특별한 것을 공유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티머시 님의 두 숙소(버블 1, 버블 2) 역시 게스트에게 자연과 교감하는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 그의 열정에서 비롯됐다.”2년 전 유럽 여행 중 별빛 아래 잠을 청하며 잊을 수 없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럴 수가!’라는 반응이 절로 나왔죠. 얼마 지나지 않아 제가 느낀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년간 저의 사명은 다른 사람들이 저와 같은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마법 같은 경험을 만드는 일이었어요. 거칠고 힘든 과정의 연속이었지만, 저희는 결국 해냈습니다. 게스트분들이 버블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셨으면 좋겠어요!”

5. 매슈 F. 님의 렌즈 산장(미국 조지아, 일라제이)

매슈 님은 ‘렌즈 산장’을 지으면서 게스트에게 잊을 수 없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란 뿌듯함을 느꼈다고 한다. “이런 숙소를 짓는다는 것은 완전히 모험에 가까웠어요! 땅에서 4.5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카메라 렌즈 모양의 건축물을 달기 위해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을 거치고 허가를 받는 것이 꽤나 힘들었지만 결국 이렇게 완성했고 결과에 더없이 만족하고 있습니다. 숙소에 정말 만족하는 게스트분들의 모습을 보니 1년 반 동안 잠도 잘 못 자고 미친 듯이 일했던 날들이 벌써 보상받는 기분이었어요. 이렇게 멋진 숙소를 선보일 수 있게 되어 감사한 마음이며, 앞으로의 호스팅이 정말 기대됩니다.”

6. 마르가리타 님의 칠레 콘길리오 오두막(칠레, 멜리페우코)

멜리페우코 콘길리오 국립공원 안에 있는 고대 용암 동굴은 오랜 세월과 자연의 경이로움을 증명하는 곳이다. 마르가리타 님은 게스트가 지질학적 역사에 기반한 매력적인 여행을 즐기고, 용암이 녹아 형성된 복잡한 지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특별한 숙박 경험을 제공하고자 했다. 마르가리타 님은 호스팅으로 인해 가족이 훨씬 가까워질 수 있었다고 전했다. “가족 모두에게 호스팅은 하나의 열정이 되었어요. 부모, 자녀, 며느리, 손주 등 15명이 작업과 꾸미는 것에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더 가까워졌고, 서로를 더 사랑하며 더 잘 이해하게 됐습니다.”

7. 타이 G. 님의 도토리 하우스(미국 텍사스, 오브리)


타이 님은 트리하우스를 통해 게스트에게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하고자 했으며, 숙소 예약률이 높아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두고 있다. “도토리 하우스를 완성할 때쯤 기대했던 호스팅 성과가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어요. 전 세계 게스트를 맞이하며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게스트분들은 단지 하룻밤 숙박이 아닌 특별한 경험과 편안한 휴식을 위해 도토리 하우스를 방문합니다. 우리가 게스트의 삶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호스팅의 모든 것이 더욱 즐거워질 겁니다. 게스트분들이 어떤 사유로 여행을 왔는지, 생일, 기념일, 신혼여행 등 무슨 일을 축하하고자 숙소에 방문했는지 알아가는 일이 정말 즐겁습니다.”

8. 제프리 H. 님의 전세계에서 하나 뿐인 디스코볼 숙소(미국 캘리포니아, 파소 로블레스)

제프리 님은 아내와 어린 아들과 함께 ‘전세계에서 하나 뿐인 디스코볼 숙소’를 하나씩 조립해가며 첫 게스트를 어떻게 맞이할 수 있을지 잔뜩 걱정했다고 한다. 하지만 반짝이는 이 숙소는 벌써 게스트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일반적인 숙소가 아니다 보니 우리의 결과물이 게스트의 기대에 부합하기를 진심으로 바랐답니다. 모든 것이 제대로 준비되었는지 확신에 찰 때까지 숙소를 아내와 함께 돌아보고 점검했어요. 감동을 받은 게스트분들이 가족과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어 디스코볼에서의 숙박 경험을 밤새 자랑했다고 말씀하시더군요. ‘인생 숙소였어요.’ 이런 피드백을 받으니 그간의 힘들었던 일이 싹 잊히는 것 같았어요.”

9. 얀틴 R 님의 시골에 있는 거대한 나막신(네덜란드, 마룸)

북해에서 차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네덜란드의 마을 마룸(Marrum) 헷라게누르덴(Het Lage Noorden)에 위치한 외딴 지역이지만, 문화적으로 풍부한 지역이다. 얀틴 님은 남편과 함께 공모전 마감 시간 직전까지 몇 시간 동안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며, 예술과 문화, 집안 전통을 모두 결합한 콘셉트를 생각해냈다. “이 ‘네덜란드인(The Dutcher)’ 숙소를 디자인하면서 아버지와 네덜란드를 위한 찬가를 만들고 싶었어요. 외관은 모든 사람이 다들 알고 좋아할 만한 전통적인 노란색 나막신이어야 했죠. 겉은 독특하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고급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숙소를 원했어요. 유리로 만든 지붕, 모든 것이 완비된 주방과 욕실, 프리스탠딩 욕조, 별빛 아래 놓인 침대 등 여러 가지를 섬세하게 준비했답니다. 다소 작은 공간이지만 이 모든 것을 구비해 두었고 예술적인 감각도 느낄 수 있는 숙소로 만들었어요. 네덜란드의 훌륭한 예술가들이 많이 왔으면 해서요.”

10. 루카 B 님의 일 피노(이탈리아, 타르비시오)

루카 님은 숙소를 둘러싼 숲과 특별한 교감이 가능하도록 수직형 오두막을 설계했다. 1층은 안전하면서도 사생활이 보장되는 공간으로, 2층은 조용히 숲속 명상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3층은 나무 위로 펼쳐진 숨 막히는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획했다. 그렇게 ‘일 피노’가 탄생했다. 숲의 정상과 눈높이를 맞춘 이 3층짜리 오두막에서 게스트는 자연과 깊은 교감을 나누며 다른 곳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루카 님은 게스트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리란 마음을 항상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집을 지은 결과, 현재 게스트의 사랑을 듬뿍 받는 숙소를 완성할 수 있었다. “호스팅은 저희에게 새로운 모험과 같아요. 정말 즐거운 일이랍니다. 게스트를 만나 ‘일 피노’가 탄생한 배경과 그 결과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일이 가장 즐거워요. 1층부터 3층까지 안내하면서 세심하게 준비한 주방까지 보여드리면 다들 깜짝 놀라시기도 하죠. 그럴 때 보람을 느껴요. 게스트의 얼굴에 기쁜 표정이 피어오르는 모습을 볼 때마다 호스팅은 참 값진 일이라 생각합니다.”

‘기상천외한 숙소’ 공모전에 선정된 숙소와 기타 다른 특별한 숙소는 기상천외한 숙소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어비앤비는 전 세계 게스트를 대상으로 자신의 기상천외한 숙소를 공유하길 원하는 이들을 위해 에어비앤비 스타트를 통해 슈퍼호스트의 일대일 지원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airbnb.com/host/home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모모바 ‘Strawberry Delights’ 겨울 딸기 애프터눈 티 세트 선보여

(여행레저신문)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호텔 (이하 코트야드 메리어트 호텔)의 모모바는 ‘딸기의 계절’ 겨울을 맞아 딸기 애프터눈 티 세트 ‘Strawberry Delights’을 판매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제철 딸기를 활용한 애프터눈 티 세트로, 딸기의 다채로운 매력을 느껴보는 다채로운 디저트와 음료 메뉴를 만나볼 수 있다.

3단 트레이 속 디저트 메뉴로는 최고급 레드 와인과 다양한 베리류를 함께 끓여 만든 수제 젤리, 진한 초코 글레이즈로 커버링 한 딸기무스, 촉촉한 케이크 시트 사이에 딸기잼을 샌딩 한 후 딸기 초콜릿으로 코팅한 래밍턴 케이크, 오크 향 가득한 다크 럼에 절인 크랜베리로 만든 홈메이드 스콘과 수제 딸기잼, 직접 만든 베리 꿀리가 가득한 초콜릿, 딸기가 통으로 가득 들어있는 몽블랑 타르트, 홈메이드 머핀 & 마들렌 & 슈로 구성된다.

디저트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음료는 국내산 깡순이 딸기로 만든 막걸리, 딸기 보드카 베이스의 부드러운 딸기 칵테일, 베리 향이 매력적이고 딸기 디저트에 어울리는 로제 와인, 달콤 상큼 딸기향이 매력적인 스트로베리 티, 진한 딸기 맛의 에이드, 커피 중 택 2가 가능하다.

한편, 코트야드 타임스퀘어 호텔은 네이버 예약 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해당 프로모션은 12월 1일부터 24년 3월 17일까지 매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로 운영하며 최소 이틀 전 예약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가격은 2인 기준 6만 8천 원이다.

India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Expo Centre: South Korea’s KINTEX to Open 5th Largest Convention Center in Asia in October

The India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Expo Centre (IICC) in New Delhi is set to open on October 1st, bringing South Korea’s KINTEX into the spotlight as the center’s operator. With an exhibition area of 300,000 square meters, the IICC will become the largest exhibition hall in Southwest Asia and the 5th largest in Asia. The center, backed by the Indian government’s 4 trillion won investment, aims to attract international conferences, exhibitions, and trade fairs while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The India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Expo Centre:
The IICC, a key project of the Indian government, will serve as a crucial hub for the MICE (Meetings, Incentives, Conferences, and Exhibitions) industry. Its vast size, approximately 6.25 times larger than COEX, positions it as a premier venue for hosting large-scale events. With its construction cost estimated at 4 trillion won, the IICC is expected to draw significant tourist footfall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exhibition industry in India.
KINTEX’s Operational Rights:

KINTEX,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Gyeonggi Province in South Korea, secured the operational rights of the IICC through a competitive bidding process in 2018. This achievement marks the first instance of a domestic public institution venturing overseas. KINTEX’s success in obtaining the rights demonstrates the recognition of South Korea’s exhibition industry expertise by a foreign government. The operational partnership between KINTEX and India presents an opportunity for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trade exhibitions and expand their global reach.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The IICC’s opening signifies a new chapter in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particularly Gyeonggi Province, and India. Governor Kim Dong-yeon of Gyeonggi Province expressed his hopes for further collaboration and synergy between KINTEX in South Korea and the IICC in India. Governor Kim highlighted India’s strategic importance as a trade partner and stressed the potential for increased exports, investments, and personnel exchanges facilitated by the exhibition industry.
Impacts and Opportunities:
The IICC’s inauguration is expected to attract global companies considering investments in India, providing a platform for domestic businesses to connect with potential investors. By host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trade exhibitions, the center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Indian industries, including medical, energy, batteries, bio, construction, home appliances, entertainment, and beauty. The IICC’s immense scale and strategic location in India make it a promising venue for promoting trade and fostering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onclusion:
The upcoming opening of the India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Expo Centre heralds a significant milestone for the MICE industry in Southwest Asia. South Korea’s KINTEX, as the center’s operator, brings its expertise and experience to the table, aiming to enhance economic cooperation and facilitate global engagement. With its expansive exhibition space and strategic location, the IICC is poised to attract international events, bolster trade, and foster the growth of Indian businesses. The center’s establishment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deepening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India while creating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e region.

 

B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경주와 교토

경주와 교토

천 년 고도(高都)라면서 두 도시를 자주 비교한다.
한국 사람들이 특히 비교하고 싶어한다.

그런데 관광 인프라 면에서 이 비교는 오히려 부끄러움을 불러일으킨다. 도대체 오래 된 도읍이었다는 것 말고 경주가 무슨 매력이 있느냐 말이다. 지난해와 올해 경주 두 번, 교토 두번 다녀오면서 느낀 단상의 결론이다.

박물관도 유적도 많고, 음식점도 많다고 우길 수 있지만 경주는 관광 의욕을 꺾는 도시일 뿐이다. 공공기관에 의해 획일적으로 조성된 관광지에서 뭔가 대단한 것을 기대한다는 게 애초부터 무리였다. 비싼 KTX 타고 내려가 렌트카 빌리고 괜찮은 숙소에 머무는 코스를 고집하지 않더라도 경주는 관광비용이 많이 드는 도시다.

공공 교통망은 한참만에 오는 버스나 택시밖에 없으니 하루에 움직여서 볼 수 있는 관광지가 많지 않다. 괜찮은 공연장, 백화점, 마켓, 갤러리, 음식점도 없거나 충분치 않은데다 가격은 웬만하면 서울 강남 일대의 값을 넘어선다. 황리단길을 다녀보아도 손내밀어 사고싶은 물건도 없고, 가로수도 없는 땡볕 아래에서 특색 없는 상점들만 보다 금세 지치기 일쑤다. 밤에 즐길 문화도 별로 없다. 저녁만 먹으면 숙소로 찾아들어가게 된다.

길가다 벽화가 예뻐서 찍었는데, 묘다실이라고 써있다. 고양이 애호가들이 좋아할만한 곳

반면 교토는 관광 구역이라고 따로 지정할 것도 없이 어딜 다니든 일본 전통 목조 가옥이 보이고, 정겨운 개천이 있고, 벚나무 단풍나무가 우거진 명소가 펼쳐져 있다. 밤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받은 신사나 사적지 등에서 디지털 아트쇼나 레이저쇼로 또 관광객을 끌어모은다. 우리라면 어디 감히 문화유산에 손을 대냐고 기겁할 일인데, 교토에서는 유적들을 품위를 살리면서도 돈벌이에 아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나처럼 화장하고 싶으면 돈내면 된다고 게이코 아가씨가 호객행위도. 관광객과 사진 촬영은 무료로 서비스

기온 거리를 굳이 걷지 않아도 1900년대 이전의 전통을 그대로 간직한 제과점 커피숍 전문상점이 즐비한 곳이 교토다. 게다가 엔화 가치가 떨어져 있으니 절로 지갑을 열게 된다. 정원과 고색창연한 절은 어찌 그리 많은지 2~3일 짧은 여행 코스로는 도저히 소화가 안된다.

상점마다 TAX 리펀드도 제대로 해준다. 교통망도 촘촘하고 여행자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할인해주는 교통카드도 취향대로 고를 수 있다. 일본인들이 가장 선호한다는 다카시마야 백화점 내에서 사먹는 오방떡(앙꼬도 실하게 꽉꽉 차 있다)은 우리돈으로 천원도 채 안된다.

수퍼마리오를 앞세운 스티커 가게. 손바닥만한 스티커 한 장에 350~500엔

젊은 사람들 좋아하는 인스타 감성의 아기자기한 카페나 서점, 피규어숍들이 흘러넘치고, 꼼데가르송 바오바오 메종카츠네는 한국인들이 통째로 털어가 가게에 물건이 없다. 입맛대로 골라잡을 수 있는 음식점, 저렴하고도 깨끗한 호텔, 손님맞이를 위해 혼신을 다해 준비한 상인들의 서비스 정신은 혀를 내두를 정도다

이 스시집 셰프 양반이 한국 노래도 해가면서 한국 사람 지갑을 공략 중이다

셰프 혼자 운영하는 제법 알려진 스시 집에서 그의 칼놀림을 보는 것도 재미있었지만 오징어게임, 대장금, 사랑의 불시착 등 우리도 안본 드라마들을 거론하며 유창한 발음의 한국어는 물론 주제가까지 불러주는서비스는 그 장삿속을 알면서도 팁을 두둑히 얹어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여행지에 대한 인상은 다음에 다시 가고 싶은지 아닌지로 평가한다. 지금의 경주라면 다시 방문하고픈 매력이 없다. 그런데 교토는 몇 번 가도 자꾸 궁금하다. 우리보다 좀더 나아보이는 그 부분들이 무엇인지 알고 싶고, 배우고 싶고 흉내내고 싶게 만든다.

착각하지 말자. 우린 일본에 아직 멀었다.

글 사진/오선문 SNS

경주의 십원빵 간판과 비교해 보시라
니시키 시장 절임 야채 파는 곳. 절임야채는 교토의 특산품이다
교토역은 키티와 함께. JR열차에 입힌 키티 감성
족욕하면서 교토를 감싸는 산사들을 바라보는 풍광 덕에 좁은 내실에도 불구하고 이 호텔 인기가 높다.
긴카쿠지 이끼정원
난젠지 가는 길로 흐르는 도랑. 켄신이 무고한 사람을 죽이고 뺨에 원한 어린 깊은 상처가 났다는 딱 그 느낌
일본인들만의 모퉁이 선술집. 말그대로 서서 먹는데, 일곱명쯤 들어가면 자리가 꽉 찬다. 고독한 샐러리맨들이 많아 보인다
가부키 전용극장. 여전히 경극 본다고 극장 앞에는 줄이 늘어서 있다
정갈한 꼴뚜기 숙회. 어디서 뭘먹어도 탈이 안날 거라는 신뢰자산이야말로 일본의 힘

 

Unveiling Seoul’s Enigmatic Heights: Namsan Mountain

As you wander through the vibrant streets of Seoul, your gaze is captivated by the regal silhouette of Namsan Mountain. Standing proudly amidst the bustling city, this majestic peak, known as “South Mountain” in Korean, holds within its embrace a tapestry of history and natural beauty.

When Seoul was founded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Namsan Mountain dominated the southern portion of the city. Today, the city has grown to both banks of the Han River, and Namsan remains a central landmark. Its upper par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city park called Namsan Park, where automotive traffic is restricted, making it an ideal escape from the urban bustle.

To reach the park, you have several options. One is to embark on a leisurely walk, taking roads leading up Namsan from Myeong-dong, Chungmuro, or Itaewon. While a scenic route, it may prove challenging for some due to the difficult city streets and the long ascent up the mountain.

Another option is to hop on the Namsan Sunhwan Shuttle bus, which leaves every 15 to 20 minutes from nearby subway stations. With cash or a metro card, you can reach the top of Namsan for a nominal fare. The shuttles run from 10:00 AM until 11:00 PM and provide a convenient and affordable way to access the park.

For a touch of nostalgia, the Namsan Cable Car offers a charming experience. Built in 1962, it gracefully ascends from the Hoehyeon-dong platform to the Yejang-dong platform near the base of N Seoul Tower. From Myeong-dong station, you can easily reach the cable car platform. A round trip on the cable car offers not only convenience but also a delightful perspective of the city below.

Once you arrive at Namsan Park, a world of enchantment unfolds. The park boasts a botanical garden, a library, a National Theater, and the captivating Namsangol Hanok Village—an immersive cultural village showcasing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These attractions are worth exploring if you have the time, offering glimpses into Korea’s rich heritage.

Yet, the true allure of Namsan lies in the view it presents—an awe-inspiring panorama of Seoul. To behold the city in all its splendor, make your way to the observation deck of N Seoul Tower. Standing at a staggering height of 777 feet, the tower offers a vantage point like no other. As you gaze upon Seoul’s cityscape, ancient palaces harmonize with modern skyscrapers, weaving a story of dynamic growth and timeless traditions.

As day surrenders to twilight, the city’s lights ignite, painting the night sky with a symphony of colors. It’s a moment to cherish, a testament to Seoul’s vibrant spirit that thrives both day and night. The N Seoul Tower stands as a beacon, guiding the city’s aspirations and dreams.

While N Seoul Tower claims its place as the crown jewel atop Namsan, the mountain itself holds its own enigmatic treasures. The Joseon-era smoke signaling devices, located near the tower, whisper tales of Seoul’s past. These ancient artifacts once served as the city’s vigilant eyes, safeguarding it from potential threats. Bilingual signs nearby unravel the secrets of their operation, transporting visitors back in time to an era of watchful eyes and vigilant hearts.

As you descend from Namsan, gratitude fills your heart—for the memories etched in your soul, for the panoramic vistas that took your breath away, for the city that unfolded its treasures before your eyes. Seoul and Namsan Mountain, intertwined in their majesty, beckon travelers to embrace their wonders and embark on a journey of discover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Travel Korea] Serene Splendor: Sunamsa Temple,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Nestled amidst the enchanting mountains, gracefully adjacent to the esteemed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lies the illustrious Sunamsa Temple—a treasure bestowed with the distinguished title of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is revered temple transcends mere architectural grandeur and delves into the realms of profound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Its meticulous design, a testament to the ingenuity of traditional Korean temple craftsmanship, exemplifies the nation’s resplendent cultural heritage.

Within its sprawling complex, one discovers a symphony of majestic halls, resplendent pagodas, and ornate pavilions, each adorned with intricate carvings and vibrant paintings, celebrating the artistry of gifted craftsmen.

As wanderers traverse the hallowed grounds of Sunamsa Temple, a serene ambiance embraces them, seamlessly blending spirituality with the breathtaking allure of nature. A pilgrimage to this sacred sanctuary not only unveils the exalted UNESCO designation but also offers an immersive experience steeped in tranquility, where the convergence of cultural and natural splendors unfolds in captivating harmony.

B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Photo @Jungchan Lee

Seoul Selects 99 Trainees for Medical Tourism Interpreting Coordinator Program

Seoul City, in collaboration with the Seoul Tourism Organization, has announced the launch of the “2024-2026 Seoul Medical Tourism Interpreting Coordinator” program,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 for foreign patients and bolstering Seoul’s position in the global medical tourism market.

The role of a “Seoul Medical Tourism Interpreting Coordinator” encompasses vital responsibilities such as medical interpretation, medical tourism consultation, and marketing support for foreign patients seeking medical services in Seoul. These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play a critical role in attracting and managing international patients within medical facilities.

The recruitment period for the “Seoul Medical Tourism Interpreting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garnered significant interest from individuals aspiring to jo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Over a span of three weeks, from May 16th to June 4th, a total of 326 applicants competed for the opportunity to be part of this prestigious program, showcasing the industry’s enthusiasm for revitalizing the medical tourism ecosystem.

After a rigorous selection process, 99 trainees were chose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Notably, approximately 40% of the selected candidates possess language proficiency not only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but also in languages such as Mongolian, Russian, and Vietnamese. This diverse linguistic capability positions Seoul to cater to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patients from various countries.

The trainees will undergo an intensive training program organized by the Seoul Tourism Organization, starting in September.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course will grant them official recognition as Interpreting Coordinators designated by Seoul City. Over the course of three years, they will be responsible for coordinating medical interpretation services and actively engaging in medical tourism-related activities.

To obtain certification, trainees must fulfill the required training hours and pass the final examination. Upon meeting these criteria, they will be given priority in being assigned to medi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Seoul’s medical tourism initiatives from 2024 to 2026. This arrangement aims to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nhance the overall patient experience.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ir core responsibilities in interpreting coordination, the trainees will actively contribute to various projects aimed at promoting medical and wellness tourism in Seoul. They will participate in events such as the “Seoul Medical Tourism International Travel Mart” and engage in other initiatives led by Seoul City and the Seoul Tourism Organization. These activities will enable the trainees to gain practical experience and broaden their expertise in the field.

During an orientation session, distinguished experts from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ncluding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and Kyung Hee Medical Center, provided valuable insights into the current landscape of attra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ients. The trainees also received a lecture from Baek Hyeon-jeong, an esteemed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who emphasized the vital role and exemplary conduct expected of medical tourism interpreting coordinators. This session further motivated the trainees, ensuring their preparedness to deliver exceptional care and support to foreign patients.

Hwang Mi-jeong, Head of the Global 2 Team at the Seoul Tourism Organization, expressed confidence in the growing demand for high-quality medical tourism services in Seoul, as the global market continues its recovery. She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well-trained Interpreting Coordinators in building trust and fostering positive experiences for foreign medical tourists.

Through the collaborative efforts of Seoul City and the Seoul Tourism Organization, the cultivation of skilled Interpreting Coordinators will reinforce Seoul’s reputation as a premier destination for medical tourism. This initiative will contribute to the city’s continued growth and success in the thriving medical tourism industry.

코리아 트래블 뉴스 2023년 6월 2nd Issue

 

@Korea Travel News

 
Korea Travel News

Weekly Digest of Travel and Tourism News in Korea

Korea Travel Digest

Welcome to the Korea Travel Digest, your gateway to the latest and most exciting travel and tourism news in Korea. Get ready for a thrilling journey as we bring you a weekly digest filled with insightful articles, updates, and features, immersing you in the vibrant world of Korean travel.

 
 

Read More

 
 

Unleashing Success in Marketing and PR

Embrace Growth Mindset and Collaboration!

Welcome to our weekly exploration of the dynamic world of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PR). As we navigate the ever-changing landscape of business, it is imperative to unlock our full potential and demonstrate the power of collaboration. In this series, we aim to foster engaging discussions, share inspiring stories, and exchange valuable insights among marketing and PR professionals, as well as enthusiasts in the field.

 
 

Read More

 
 

Director Shimizu Yuichi Sets Ambitious Goals

Ambitious Goals for Japan’s Tourism in Korea

Recently, the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s Korean Office welcomed its new Director, Shimizu Yuichi. With Japan continuously grabbing attention as a top destination, particularly after the reopening of the tourism sector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an exclusive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lve into the world of Korean travelers and their experiences.

 
 

Read More

 
 
 
 

Korean Market Updates

Travel Korea

 
 
 
 

Lastest News

https://thetravelnews.co.kr/06/602499/
 
 
 
 
 
 

B01 Yeoksamro5Gil 8 Gangnam-Gu Seoul 06243 Korea
Contact +821092884451 +82232720503 KakaoTalk koreatravelnews
FAX 05043654451 https://travelnews.co.kr

COPYRIGHT @ KOREA TRAVEL NEWS ALL RIGHT REVERED

 

 

 

[Travel Novel] Buddha and Me – The Call of the Journey

The summer sun blazed relentlessly, casting its intense radiance upon the land. Even before May drew to a close, the scorching heat began to wrap itself around the earth, refusing to dissipate in the wind’s embrace.

Under the sweltering heat, every living creature seemed to struggle, gasping for breath, as if caught in a never-ending race against time. Memories of the refreshing spring days were swiftly overshadowed by the relentless blaze that engulfed the world.

In the midst of June, as the threshold of autumn beckoned on the far side of the globe, I received a message that would change the course of my life: “Your journey to India awaits.”

There was an inherent mystique in the name itself—India—a place that had captivated my imagination for so long. It whispered promises of enlightenment, spiritual awakening, and profound self-discovery. Although the prospect of embarking on this adventure excited me, doubts crept into my mind like shadows creeping across a desolate landscape. Could I endure such a harsh climate? Could I truly experience the essence of India under such scorching temperatures?

Pushing aside my momentary hesitation, I mustered my resolve and replied, “Very well. When shall we depart?” The response came swiftly, “The itinerary will commence in early July.”

The kind-hearted advice I received informed me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would reach 38 degrees, with scorching highs of 42-43 degrees. Instead of deterrence, an odd exhilaration took root in my heart. It was as if the promise of this challenging journey stirred a peculiar thrill within me, reminding me of the depths of my own longing and the vulnerability of my spirit.

“Should anyone wish to join me, please speak up. I will cover the expenses, minimizing the financial burden to just the round-trip airfare.”

While the idea of embarking on a solitary expedition often appealed to me, this particular journey held a unique significance. It entwined a pilgrimage to sacred Buddhist sites with a cultural exploration of the enigmatic Indian landscape. Thus, I felt compelled to seek companionship for this extraordinary venture.

Fate seemed to conspire in my favor, for I already had two potential fellow travelers in mind. A monk, whose serene presence had touched the depths of my soul, and a fellow believer with whom I shared a profound spiritual connection at the temple. Together, we resolved to set forth on this unforgettable expedition, our hearts intertwined with hope, uncertainty, and a shared yearning for transformation.

The preparations for our journey commenced in customary fashion—validating passports, securing airline tickets, and ensuring the presence of a trusty credit card. A modest sum of emergency funds found their place amidst my belongings. A day before our departure, I diligently gathered the essentials, performing the ritual of packing my bag akin to a well-practiced routine.

As much as I yearned to indulge in the convenience of instant meals—astonishingly advanced in their development—I firmly resisted the temptation. To embark on a journey meant to immerse oneself in a foreign culture, one must willingly embrace the local cuisine, savoring it joyfully, even if it did not align with familiar tastes. How else could I truly experience the vibrant tapestry of Indian culture?

If I were to encounter pungent spices or unfamiliar condiments, I resolved to approach each meal with gratitude. Rather than resisting or recoiling from the flavors, I sought to appreciate the rich history and deep-rooted traditions imbued within every dish. Traveling with preconceived notions about food would be akin to donning a protective suit, shielding myself from the very essence of exploration.

With my bag neatly packed, containing only the bare essentials—my meager belongings and camera—I stood on the precipice of the unknown. As I completed the departure formalities and settled into my seat, neatly arranged by the gate, a sudden surge of emotions flooded my being. Doubts and uncertainties collided with an overwhelming sense of anticipation. What lay beyond the horizon? What connections and destinies awaited me in the land of ancient traditions and timeless wisdom?

My heart ached with a mixture of excitement and trepidation, much like the delicate dance of a pendulum, forever oscillating between extremes. Little did I know that this journey, beyond the realm of a mere physical pilgrimage, would unravel the very essence of my being.

Jungchan Lee

 

Unleashing Success in Marketing and PR: Embrace Growth Mindset and Collaboration!

Welcome to our weekly exploration of the dynamic world of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PR). As we navigate the ever-changing landscape of business, it is imperative to unlock our full potential and demonstrate the power of collaboration. In this series, we aim to foster engaging discussions, share inspiring stories, and exchange valuable insights among marketing and PR professionals, as well as enthusiasts in the field.

Facilitating Two-Way Communication:

Our goal is to create an interactive platform that encourages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rather than a one-sided dialogue. We believe that knowledge is best built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diverse perspectives. By facilitating two-way communication, we invite marketers and PR professionals to actively contribute, share their perspectives, and exchange experiences, enriching the collective knowledge of our community. This inclusive approach enables us to learn from one another and uncover new possibilities in the marketing and PR landscape.

Analyzing Success in Marketing and PR:
Drawing from extensive experience and expertise, we will delve into the intricacies of success in marketing and PR. Through meticulous analysis and evaluation, we will present valuable suggestions while considering counterarguments and recommendations. Our aim is to facilitate growth and development by providing practical insights and actionable strategies for both aspiring and seasoned professional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ccess, we can identify patterns, best practices, and emerging trends that can guide marketers and PR professionals on their journey to achieve remarkable results.

Section 1: Unveiling the Ingredients of Success in Marketing and PR

Beyond the Surface: Cultivating a Growth Mindset:
While formal qualifications hold significance, true success in marketing and PR is deeply rooted in fostering a growth mindset. We explore the importance of embracing continuous learning, resilience, and adaptability. By cultivating a growth mindset, professionals can embrace challenges, seek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stay ahead in a rapidly evolving industry. We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for expanding knowledge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embracing failure as a learning opportunity, and cultivating a mindset that thrives on innovation and exploration.

 

The Power of Collaboration: Building Strong Partnerships:

Effective marketing and PR rely on cultivating strong relationships. We delve into strategies for fostering collaboration, nurturing connections, and delivering exceptional customer experiences. Ethical practices, transparent communication, and building trust play pivotal roles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successful partnerships. We explore how collaboration can generate innovative ideas, expand reach through strategic alliances, and achieve collective success. Through real-world examples and case studies, we highlight the power of collaboration in creating impactful marketing and PR campaigns.

Section 2: Emerging Trends and Innovative Approaches

Navigating the Digital Frontier: Embrac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the face of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staying informed and embracing technology are essential. We explor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data analytics, and emerging technologies. Additionally, we highlight the role of innovation, agility, and leveraging digital platforms to maintain a competitive edge. We delve into specific digital marketing tactics such as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social media marketing, content marketing, and influencer partnerships. We also discuss the importance of staying abreas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using data-driven insights to optimize marketing and PR strategies.

Section 3: Measuring Success and Refining Strategies

The Metrics that Matter: Tracking Performance and Driving Results:
To drive success in marketing and PR, establishing metrics for measuring performance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ampaigns is paramount. We delve into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analytics tools, and data-driven insights that enable professionals to track progress,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and refine strategies for maximum impact.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setting SMART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bound) goals, selecting appropriate metrics based on campaign objectives, and interpreting data to optimize future marketing and PR efforts.
Conclusion:

As we strive for success in the ever-evolving marketing and PR landscape, professionals play a pivotal role. By embracing a growth mindset, fostering collaboration, and staying adaptable, we can unlock our true potential and achieve remarkable results. Join us in shaping the future of marketing and PR through shared experiences, insights, and knowledge. Let us propel ourselves towards new heights, driven by the belief that success is not an endpoint but a continuous journey of growth and innovation.

Next week:
we will assess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and PR agencies in fulfilling their roles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uccess. By examining the strategies, best practices, and challenges faced by these agencies, we aim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impact on the marketing and PR landscape.

 

B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Seoul Transforms into a Purple Wonderland: Celebrating BTS’s 10th Anniversary at the 2023 BTS Festa”

The 2023 BTS Festa in Seoul has reached its dazzling culmination, leaving a trail of unforgettable memories in its wake. The city, bathed in a captivating purple hue, served as the perfect backdrop to commemorate the 10th anniversary of BTS, the global sensation that has taken the music industry by storm.

For weeks leading up to the event, the cityscape of Seoul underwent a magical transformation as iconic landmarks changed their colors to a vibrant purple, symbolizing both BTS’s signature hue and the profound impact they have had on their fans, affectionately known as ARMY. From the renowned N Seoul Tower to the bustling streets of Gangnam, every corner of the city radiated with a sense of celebration and appreciation for the group’s extraordinary journey.

The 2023 BTS Festa proved to be a feast for the senses. Beyond the visual spectacle, the festival offered a rich tapestry of experiences for ARMYs and music enthusiasts alike. Fans were treated to immersive exhibitions, showcasing the group’s discography, iconic outfits, and personal mementos, offering a glimpse into the diverse artistic expressions that have defined BTS’s success.

Throughout the festival, a series of live performances by BTS and their talented collaborators captivated audiences, demonstrating the group’s versatility and their ability to connect with fans on an emotional level. From heartwarming ballads to energetic anthems, each performance was a testament to BTS’s artistry and their ability to create music that transcends boundaries.

As the festival neared its grand finale, anticipation built for the much-awaited event set to take place on the banks of the Han River. On the final night, Yeouido transformed into a sprawling open-air concert venue, buzzing with excitement and anticipation. The stage was set for an awe-inspiring display of pyrotechnics, choreographed in perfect harmony with BTS’s music.

As the clock struck 20:30, a collective gasp of wonder filled the air as the night sky erupted into a mesmerizing symphony of fireworks. Brilliant bursts of color illuminated the darkness, each explosion synchronized flawlessly with the melodies that have become the soundtrack to countless lives around the world. ARMYs and spectators alike watched in awe, their hearts swelling with pride and admiration for the group that has made such an indelible impact.

The 2023 BTS Festa was more than just a celebration of BTS’s achievements; it was a testament to the power of music, unity, and the enduring bond between artists and their fans. The festival provided a platform for ARMYs from diverse backgrounds to come together, united by their love for BTS and their shared experiences. In a world that often feels divided, BTS has become a beacon of hope and inspiration, demonstrating the transformative power of music to bridge cultural gaps and foster connections that transcend borders.

As the 2023 BTS Festa drew to a close, Seoul bid farewell to its ephemeral purple facade, but the spirit of celebration and the impact of BTS’s music will continue to reverberate. The festival served as a reminder of the group’s remarkable journey from humble beginnings to global stardom, and their unwavering commitment to spreading messages of self-love, resilience, and empathy.

As BTS sets its sights on the future, fans eagerly anticipate what lies ahead. With their unwavering passion, boundless creativity, and an ever-growing global fanbase, BTS’s legacy is poised to endure for generations to come. The 2023 BTS Festa will forever hold a special place in the hearts of ARMYs and serve as a testament to the remarkable achievements of BTS, the group that redefined the boundaries of music and left an indelible mark on the world stage.

[Travel Korea] Baekdamsa Temple in Seoraksan Mountain

Baekdamsa Temple

Baekdamsa Temple is a renowned Buddhist temple located in the picturesque Seoraksan National Park in South Korea.

With its origins dating back more than a thousand years, the temple holds great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region.

Nestled amidst the breathtaking natural beauty of Seoraksan Mountain, the temple offers visitors a peaceful and serene atmosphere for reflection and spiritual rejuvenation.

The intricate architectural details of the temple, adorned with vibrant colors and intricate carvings, showcase the mastery of ancient Korean craftsmanship. Surrounding the temple, lush forests and towering peaks create a majestic backdrop, making it a popular destination for nature enthusiasts and photographers alike.

Exploring Baekdamsa Temple allows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rich traditions and spirituality of Korean Buddhism while enjoying the awe-inspiring beauty of Seoraksan.

B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코리아 트래블 뉴스 2023년 6월 1st Issue

 

@Korea Travel News

 
Korea Travel News

Secret Key to Success in the Korean Market

[Tourism Marketing] Unlocking the Secret Key

The Korean tourism market holds the potential for a significant resurgence. The gloomy period, where the freedom of travel was taken away and restricted movement became the norm, has finally come to an end. A new era of travel has emerged.

 
 

Read More

 
 

Unraveling the Allure of SITF2023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ITF 2023

It has been a month since the conclusion of SITF2023 (Seoul International Travel) held in Seoul. The 38th installment of the annual event took place from May 4th to 7th, 2023, at COEX C Hall in Samsung-dong, Seoul. Since its inception in 1996, SITF (previously called KOTFA) has continuousl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industry and fostering exchange between countries.

 
 

Read More

 
 

Surge in Travel Demand Amidst Pandemic Transition

Travel Industry Experiences Unprecedented Growth

As the world emerges from the COVID-19 pandemic, the travel industry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surge in demand. Revenues of travel agencies, airlines, duty-free shops, and related sectors have skyrocket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latest data analysis, uncovering key travel trends, popular destinations, an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is remarkable travel boom.

 
 

Korean Market Updates

Travel Korea

 
 
 
 

Lastest News

Israel Targets Asian and Korean Tourists for Tourism Expansion, Says Deputy Minister
 
 
 
 
 
 

B01 Yeoksamro5Gil 8 Gangnam-Gu Seoul 06243 Korea
Contact +821092884451 +82232720503 KakaoTalk koreatravelnews
FAX 05043654451 https://travelnews.co.kr

COPYRIGHT @ KOREA TRAVEL NEWS ALL RIGHT REVERED

 

 

 

[1000 cities 1000 cultures] “Osaka-jo 2

Osaka Castle is a flatland castle. The first defensive barrier of Osaka Castle, constructed on a slightly elevated hill, is a moat surrounding the castle. At first glance, it seems impossible to attack the castle, with its seemingly impenetrable walls and a deep moat guarding it. The Tokugawa family, who successfully captured the impregnable Osaka Castle, enjoyed 265 years of glory.

[ngg src=”galleries” ids=”3″ display=”basic_slideshow”]The cherry blossom is the symbol of Osaka Castle. In Japan, cherry blossoms signify the end of winter and the arrival of spring, and they beautifully adorn the surroundings of Osaka Castle, as if draping it with a delicate silk veil.

 

B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미국 PGA투어와 사우디 LIV 골프, 역사적 합병 선언… 세계 골프 산업에 새로운 도약의 기회”

PGA투어 사우디 LV와 전격 합병선언, 제이 모나헌 PGA커미셔너

(파워골프=이현우 기자) 미국 PGA투어와 사우디 LIV 골프는 최근 역사적인 합병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합병은 골프계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골프 산업에 혁신과 다양성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골프계의 경제적, 경쟁적 풍경을 새롭게 조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단체의 결합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 PGA투어와 합병을 선언한 사우디 LIV 골프는 사우디 국부펀드가 2022년 6월에 창설한 수퍼 골프리그로, 대회당 PGA 투어 대회의 4배가 넘는 상금을 제공하여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필 미켈슨, 브룩스 켑카, 브라이슨 디섐보, 더스틴 존슨 등 많은 스타들이 LIV 골프로 이적하면서 PGA 투어와 대립관계를 형성했습니다.

합병 발표에 따르면, PGA투어 제이 모나현 커미셔너(Monahan)가 CEO로 선출되었으며, 회장은 사우디 LIV 골프의 수바이안 알 사다(Pronunciation: Suvayyan Al-Sada)가 맡게 될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새로운 조직 구조와 임원진의 구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는 PGA 투어와 LIV 골프의 공동 운영 법인의 독점 투자자가 되며, PGA 투어는 새로운 법인의 이사회의 과반수를 임명하고 과반수의 의결권을 갖습니다.

앞으로 미국 PGA투어와 사우디 LIV 골프는 공동 소유의 영리 법인을 설립하고 골프 산업을 성장시키는 데 주력할 것입니다. 세부사항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며, PGA 투어와 DP 월드 투어가 별도 법인으로 운영될지, 선수들이 LIV와 PGA 투어를 병행할 수 있는지, TV 중계권은 어떻게 될지 등은 미정입니다. 그러나 올해 투어는 현재 진행 중이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합병 이후 LIV 골프 소속 선수들은 미국과 유럽 골프 투어 회원 자격을 다시 받을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입니다. 또한, 계류 중인 모든 소송도 합의로 종료될 예정입니다.

이번 합병에 대해서 선수들 대부분은 호의적인 반응입니다. 필 미켈슨은 “골프계에 새로운 기회가 열렸다”고 말하면서 합병의 가능성에 대해 기대감을 표명했습니다. 브룩스 켑카 역시 “전 세계 골프 팬들에게 더욱 흥미로운 시즌을 선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합병에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합병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시하는 선수들도 있습니다. 주리우스 스모이스는 “상금보다 골프의 전통과 역사를 중시해야 한다”며 합병을 비판하였고, 제이슨 케이오 역시 “경쟁을 경제적인 요소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번 합병은 미국 PGA투어와 사우디 LIV 골프가 함께 협력하여 팬들에게 더욱 흥미로운 대회와 경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골프계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세계적인 관심을 끌기 위해 혁신과 다양성을 추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이번 합병은 골프계에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새로운 시도를 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세계 골프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000cities 1000cultures] Nasir Al-Mulk Mosque Shiraz

A Sacred Encounter

The Nasir al-Mulk Mosque, located in Shiraz, Iran, is a magnificent architectural gem. Completed in the late 19th century, it is renowned for its exceptional Islamic design and artistic craftsma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Pink Mosque,” it has gained worldwide recognition as a prominent tourist attraction.

The mosque’s main features include its dazzling interior decorations and exquisite stained glass windows. The interior is adorned with a variety of colorful and intricate tile work, and the ceiling depicts beautiful scenes and constellations, creating an impressive experience for visitors. The stained glass windows reflect sunlight, casting a kaleidoscope of enchanting light that enhances the mosque’s ambiance.

Beyond its religious significance, the Nasir al-Mulk Mosque holds cultural importance. It serves as a place to experience Islamic teachings and art, attracting numerous visitors. Adjacent to the mosque, there is a sandstone clock tower inspired by emoticons, offering visitors a beautiful panoramic view.

The Nasir al-Mulk Mosque is considered a cultural heritage site in Iran, cherished for its beauty and serene atmosphere.

Photographer: Gon Lee/Korea Travel News

[1000 cities 1000 cultures] “Osaka-jo

Osaka-jo, also known as Osaka Castle, is a historic landmark and iconic symbol of Osaka, Japan. Constructed in the 16th century by Toyotomi Hideyoshi, it stands as a testament to the city’s rich heritage and feudal era history. With its grand architecture, towering main keep, imposing stone walls, and wide moats, Osaka-jo captivates visitors with its impressive presence. The castle’s imposing structure and strategic location on a hill provide not only a glimpse into Japan’s feudal past but also stunning panoramic views of Osaka’s skyl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saka-jo is further showcased in the Osaka Castle Museum. Within its walls, visitors can explore a treasure trove of artifacts, armor, weapons, and artworks that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life and times of Toyotomi Hideyoshi. The museum provides a fascinating journey through history, allow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feudal era of Japan and gain a deeper appreciation for the castle’s historical significance. As visitors ascend to the top floor of the main keep, they are rewarded with breathtaking panoramic views of Osaka’s bustling urban landscape, creating a memorable and must-visit experience for both locals and tourists alike.

Photo by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GLOBAL TOURISM SOARS TOWARDS PRE-PANDEMIC LEVELS WITH STRONG START IN Q1 2023

Jungchan LEe/Korea Travel News 1 June 2023

International tourism is making a remarkable comeback, as new data from the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 (UNWTO) reveals a strong start to 2023, propelling the industry towards pre-pandemic levels.

According to the latest edition of the UNWTO World Tourism Barometer, global tourism has surged, with international arrivals in the first quarter of 2023 reaching an impressive 80% of pre-pandemic levels. This signifies the industry’s resilience and remarkable recovery. The report estimates that over 235 million tourists embarked on international journeys during this period, more than double the number recorded in the same period of 2022.

Regional recovery progress in the first quarter of 2023 has been equally impressive. The Middle East emerged as the top performer, becoming the first region to fully reclaim pre-pandemic numbers within a single quarter. In fact, the Middle East achieved a remarkable recovery, surpassing 2019 arrival figures by 15%. Europe reached 90% of pre-pandemic levels, driven by robust demand within the region itself. Africa achieved 88% of pre-pandemic levels, the Americas reached approximately 85%, and the Asia-Pacific region saw a significant acceleration in its recovery, reaching 54% of pre-pandemic levels, particularly with the reopening of destinations like China.

The report also highlights the recovery progress at sub-regional and destination levels. In Q1 2023, Southern Mediterranean Europe and North Africa successfully regained pre-pandemic levels, while Western Europe, Northern Europe, Central America, and the Caribbean came close to achieving the same feat.

Zurab Pololikashvili, Secretary-General of the UNWTO, acknowledged the industry’s progress, stating, “The start of the year has shown again tourism’s unique ability to bounce back. In many places, we are close to or even above pre-pandemic levels of arrivals.” However, he emphasized the need to remain vigilant and address challenges such as the economic situation, rising costs, and geopolitical tensions, including the Russian aggression against Ukraine.

In 2022, international tourism receipts surpassed the USD 1 trillion mark, representing a 50% growth in real terms compared to 2021. International visitor spending reached 64% of pre-pandemic levels, experiencing a decline of 36% compared to 2019. Europe boasted the strongest performance in terms of tourism receipts, reaching 87% of pre-pandemic levels, followed by Africa (75%), the Middle East (70%), and the Americas (68%). Asian destinations faced greater challenges due to prolonged border closures, with earnings only reaching 28% of 2019 levels.

Looking ahead, the data from the first quarter of 2023 aligns with UNWTO’s projections for the year, anticipating international arrivals to recover between 80% and 95% of pre-pandemic levels. The UNWTO Panel of Experts expressed confidence in a strong peak season from May to August in the Northern Hemisphere.

While the tourism industry’s recovery faces challenges, such as the economic situation and geopolitical tensions, the promising data from the UNWTO World Tourism Barometer demonstrates that the global tourism industry is well on its way to a full recovery. The resurgence of international travel not only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but also underscores the industry’s commitment to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promoting inclusive development. Continued monitoring and adaptation will be crucial to ensure sustained recovery and future success in the industry.

Latest

카자흐스탄, 세계를 향해 말하다” — 외신 기자 대상 글로벌 공모전 개최

0
“끝없이 펼쳐진 초원, 신화처럼 숨 쉬는 도시들, 그리고 실크로드의 기억이 아로새겨진 땅.” 처음 카자흐스탄을 찾았을 때, 낯선 설렘과 익숙한 고요 사이에서 강렬한 이끌림을 느꼈다. 이제 이...

Story

야놀자와 여기어때는 숙박 플랫폼인가, 환대 없는 유통망인가

0
여행레저신문 l 이정찬 대표 플랫폼 기업의 진정한 가치는 기술이 아닌 철학에 있다. 최근 에어비앤비는 글로벌 투어의 일환으로 서울을 찾았다. 물론 행사 운영 방식이나 지역 사회와의...